본문 바로가기

보건소2

비의료기관 근무 임상병리사 : 10년 추이 임상병리학 분야는 의료 분야에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 환자 진료에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임상병리사를 병원 및 의료 시설과 연관시키는 경우가 많지만, 이들 전문가 중 상당수는 비의료 기관에서도 일하며 사회의 다양한 부문을 지원합니다. 본 블로그에서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비의료 분야 임상병리사 수의 동향과 변화를 성별 및 업무 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소개하겠습니다. 아래 표는 비의료기관 즉, 우리가 알고있는 요양기관(병원 의원)에 근무하고 있지 않은 사람들입니다.근무업종별(1)성별(1)2010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전체합계8,9199,4289,86910,56211,09711,49212,275.. 2023. 9. 13.
전국 보건소 의료기사를 살펴보자 : 2021년 통계 다양한 지역에 걸쳐 의료기사의 분포를 이해하는 것은 의료 자원 할당 및 계획에도 중요합니다. 본 정보가 의료기술직 공무원 준비생과 보건소 성비 및 전국분포도를 통해 정보 참고용으로 만들어봤습니다. 또한 분석은 성별에 따라 분류된 대한민국의 의료기사 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2021년 정확한 통계청의 자료로써 2022년과 2023년은 아직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의료기사소계전국합계남자여자총계3,8338922,941서울36982287부산14035105대구1132885인천18834154광주772156대전541341울산781167세종1248경기737157580강원23468166충북24548197충남29056234전북23962177전남27974205경북376103273경남35981.. 2023. 9. 1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