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은행에서 알아야 할 Dosage Effect
혈액은행(Blood Bank) 업무를 수행하는 임상병리사라면 항체 탐지(Antibody Screening), 항체 동정(Antibody Identification), 수혈 적합성 검사(Crossmatching) 과정에서 약한 응집 반응(weak reaction)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특히 Kidd, Rh, Duffy, MNS 혈액형 시스템에서는 같은 항원이라도 적혈구에서 발현되는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즉 Dosage Effect(도사지 이펙트, 용량 효과)가 관찰됩니다. 이는 주로 적혈구 막 단백질(transmembrane protein) 항원에서 발생하며, Kidd(Jkᵃ, Jkᵇ), Duffy(Fyᵃ, Fyᵇ), Rh(C, c, E, e), MNS(M, N, S, s) 혈액형 시스템에서 관찰..
2025. 2. 27.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새 글 쓰기 |
W
W
|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