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BO2

혈액은행에서 알아야 할 Dosage Effect 혈액은행(Blood Bank) 업무를 수행하는 임상병리사라면 항체 탐지(Antibody Screening), 항체 동정(Antibody Identification), 수혈 적합성 검사(Crossmatching) 과정에서 약한 응집 반응(weak reaction)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특히 Kidd, Rh, Duffy, MNS 혈액형 시스템에서는 같은 항원이라도 적혈구에서 발현되는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 즉 Dosage Effect(도사지 이펙트, 용량 효과)가 관찰됩니다. 이는 주로 적혈구 막 단백질(transmembrane protein) 항원에서 발생하며, Kidd(Jkᵃ, Jkᵇ), Duffy(Fyᵃ, Fyᵇ), Rh(C, c, E, e), MNS(M, N, S, s) 혈액형 시스템에서 관찰.. 2025. 2. 27.
ABO discrepancy solution - 혈액은행 ABO 불일치 사례 1 혈액은행에서 수혈처방이 나왔는데 ABO불일치가 나오면 상당히 골치아파집니다. 그래서 알고 있는 원인과 해결방법 등 공부겸 케이스가 나올때마다 업그레이드해서 다이어리 형식으로 공유해볼까합니다. 불일치의 골수증,조혈모와 골수이식에 대한 지식은 깔고가셔야합니다.Case 1 Front TypeBack Type시약Anti-AAnti-BAnti-ABA1 CellB CellO cell결과 4+ 4+ 4+1~3+non1~3+ 원인 : 실온에서 반응하는 Anti- P1, Anti- M, Anti-Lea, Alloantibody solution ID, Panel 실시  동종항체와 자가항체?Alloantibody는 외부 적혈구 항원에 노출된 후에만 생성되는 면역 항체입니다. 이러한 항체는 비자기 항원이지만 동일한 종에 속하.. 2024. 5. 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