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C4 계통 오차 vs 우연 오차 (정도관리 비교) 진단검사의학에서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도 관리(QC)가 매우 중요합니다. 검사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계통 오차(Systematic Error)와 우연 오차(Random Error)입니다. 이 두 오차의 발생 원인과 패턴은 다르며, 각각 검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릅니다.우연 오차 (Random Error, 우발 오차)란?우연 오차는 일회성으로 발생하며, 불규칙적이고 예측할 수 없는 변동입니다. 이는 검사실에서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실수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생기며, 값이 무작위로 변동하면서 ±3 SD 범위를 넘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아래와 같은 원인들로 발생합니다. 조작 실수- 작업 중 부주의로 인한 실수.기술적 미숙- 검사자의 .. 2024. 10. 21. Trend(경향)와 Shift(변이) - 품질 관리(QC) Trend(경향)와 Shift(변이)는 품질 관리(QC)에서 검사 결과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두 가지 중요한 용어입니다. 이 개념들은 검사 데이터가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시각적으로 분석하여, 장비나 프로세스에 문제가 있는지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Trend (경향)Trend는 검사 결과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진적으로 한 방향으로 변하는 패턴을 의미합니다. 검사 결과가 시간이 지나면서 꾸준히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점진적인 변화를 나타냅니다. 장비의 노후화로 기계가 오래 사용되면 성능이 점차적으로 저하되어 결과가 한쪽으로 쏠리는 경우, 시약의 변질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과가 감소하여 검사 결과가 영향을 받는 경우, 실험실 온도와 습도 같은 환경적 변화가 장비 성.. 2024. 10. 18. 진단검사실의 내부정도관리(IQC)와 외부정도관리(EQA) 비교 임상 검사실의 테스트 영역에서는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는 내부 품질 관리(IQC)와 외부 품질 관리(EQA)의 세심한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달성됩니다. IQC와 EQA는 모두 실험실 테스트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고 서로 다른 목적을 수행합니다. 실험실 결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IQC와 EQA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IQC와 EQA의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내부 품질 관리(IQC) - Internal Quality Control (IQC)IQC는 자체의 범위 내에서 실험실 테스트 결과의 재현성과 정밀도를 모니터링하고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IQC는 정확도를 간적접으로 모니터링하며, 주로 테스트 결.. 2024. 5. 25. 정도관리 : QA, QC, QM, QCM, QLP, QI PurposeQCDetection and correction of errorsMonitor and detect errors in testing processesQAPrevention of problemsEnsure that testing processes meet quality standardsQMOverall quality managementEnsure that testing processes are accurate, reliable, and meet quality standardsQCMQC managementDevelop and implement procedures for QC activitiesQPQC planOutline procedures and protocols for monitoring an.. 2023. 3. 12.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