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h2

혈소판 수혈 후 anti-D가 생겼다? 혈소판 수혈 후 anti-D 동종면역 발생 가능성혈소판 수혈과 D 항원의 관계에서..혈소판 자체에는 D 항원이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혈소판 수혈만으로는 anti-D 항체가 형성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혈소판에는 RhD 항원이 존재하지 않아, RhD 양성 또는 음성 환자에게도 수혈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혈소판 제제에 소량의 적혈구가 포함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특히 버피 코트에서 추출된 혈소판(BC-PC)은 적혈구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RhD 양성 적혈구가 RhD 음성 환자에게 노출되면 anti-D 항체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동종면역( alloimmunization) 이 생기는것도 이와 같은 이유입니다. 적혈구 오염과 항체 형성의 위험혈소판 제제에 소량의 적혈구(RBC)가 .. 2024. 9. 26.
얼마나 헌혈했을까? - 22년 전국 헌혈 통계 : Rh(+) O, A, B, AB 헌혈은 수많은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의료행위입니다.한국의 혈액형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엄청 많은 분류로 나눌 수 있지만 O형, A형, B형, AB형의 네 가지 주요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다양한 지역과 성별에 따른 헌혈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통계도 계속 업데이트 올라오고 있습니다.  RH+ 혈액형 헌혈건수 O형: 헌혈건수 729,248건(27.5%) A형: 헌혈건수 898,562건(33.9%) B형: 헌혈건수 705,547건(26.6%) AB형: 헌혈건수 303,982건(11.5%) 혈액원별(1)혈액원별(2)성별(1)2022년RH(+)소계O형A형B형AB형실적 (건)구성비 (%)실적 (건)구성비 (%)실적 (건)구성비 (%)실적 (건)구성비 (%)실적 (건)구성비 (%)합계소계계2,637,3399.. 2023. 9. 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