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일단 시그마부터 알아볼까요?
시그마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적용되어 있지만 저희 진단검사의학과에서도 적용가능한 부분.
조금 더 엄격하게 유지되는곳은 bias와 sigma로 웨스턴가드를 동시적용하여 유지하고있습니다.
시그마 레벨 | 오류율(백만 건당) | 오류가 없을 확률 | 품질 | 정도관리방법 |
1 | 690,000 | 31% | 가난한 | x |
2 | 308,537 | 69.10% | 가난한 | x |
3 | 66,807 | 93.30% | 한계 | 6농도 다중규칙 |
4 | 6,210 | 99.40% | 좋음 | 4농도 다중규칙 |
5 | 233 | 99.97% | 우수 | 2농도 다중규칙 |
6 | 3.4 | 99.99966% | 세계적 수준 | 2농도 1-3s |
여기서는 6시그마 수준이 최고 수준인데요. 검사 백만건당 3.4개의 오류를 보여줍니다.
시그마 수준이 높을수록 정도관리 농도수가 달라지고 있는 양상
그리고 6시그마가 적용된다면 다중규칙도 제외시킬 수 있습니다.
아래는 차트입니다.
반응형
그렇다면 어떻게 적용시킬까?
자 하나의 검사항목을 평가하는 AST라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시그마 매트릭값
Sigma metric = (TEa% - bias%) / CV%
AST의 허용 총오차 즉 TEa%가 10, Peer mean이 7.92, 검사실 평균값이 8, Bais units이 0.08
%bias가 1.0, SD값 0.20, CV값이 2.50이면? Sigma는 3.60이 나오네요.
(TEa% 10 - bias% 1.0) / CV% 2.50
그렇다면 해당 검사실에서 적용되고 있는 AST의 시그마는 3.6으로써 해당 AST는 백만건당
6,210 ~ 66,807의 오류가 발생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6시그마 이상일때는 다중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단일규칙인 1-3S만 적용하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진단검사의학과 > 정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사실에서의 Bias는? - 정확성 평가 (1) | 2024.10.03 |
---|---|
Basic Blood culture : 나비바늘의 배양선택 (6) | 2024.07.29 |
검사실과 실험실의 측정소급성: Traceability정도관리 (0) | 2024.06.01 |
진단검사실의 내부정도관리(IQC)와 외부정도관리(EQA) 비교 (0) | 2024.05.25 |
검사실 진단시약의 가설 통계 (4) | 2023.12.18 |
검사실 및 실험실의 영점한계, 검출한계, 정량한계 : 측정평가 laboratory measurement evaluation (0) | 2023.09.06 |
나비바늘(Scalp)을 권장하지 않는 이유? : 채혈 정도관리 - 분석 전 오류 (Pre-analytical) (0) | 2023.08.30 |
화학참고치 TEa 허용총오차 :Proficiendcy test - CLIA(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0) | 2023.08.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