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SI7 칼리브레이션 유형 Absolute Calibration, Relative Calibration Absolute Calibration과 캘리브레이션Relative Calibration은 정확한 측정을 위한 보정 절차로, 각각의 특징과 목적이 다릅니다. 특히 진단검사의학팀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의료 장비에 맞추어 이 두 가지 캘리브레이션 방식을 이해하면, 실험실에서 더욱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두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절대적 캘리브레이션 (Absolute Calibration)절대 캘리브레이션은 장비가 측정하는 값을 국가나 국제적으로 공인된 기준값(예: ISO, NIST)을 기준으로 직접 비교하여 정확성을 보장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절대적인 표준과의 비교를 통해 장비의 정확도를 평가하고, 측정값을 교정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기준물질은 주로 NIST(미국 국립표준.. 2024. 10. 11. citrate 항응고제 조절공식-현재까지의 변화 오늘은 헤마토크릿(HCT) 수치가 높을 때 항응고제를 어떻게 조정해야 하는지에 대해 중요한 두 가지 공식을 살펴보고, 그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합니다. 이 두 공식은 CLSI 공식과 과거 조정 항응고제 공식입니다. 각각의 공식이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CLSI 공식먼저 살펴볼 공식은 CLSI에 나와 있는 공식입니다.이 공식은 주로 헤마토크릿이 높은 환자에게 적절히 남아 있어야 할 citrate 항응고제의 양을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남아 있어야 할 citrate의 양=(1.85×10−3)×(100−HCT)×채혈량 공식의 구성 요소1.85 × 10⁻³: 항응고제 농도에 대한 비례 상수입니다.100 - HCT: 혈장 비율입니다. 헤마토크릿(HCT)이 높으면 .. 2024. 10. 1. 2)CLSI - M100 항균제 감수성 시험 지침 Staphylococcus spp Staphylococcus spp 1. Methicillin Resistance Testing (메티실린 내성 시험)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검출-세폭시틴(cefoxitin) 디스크 확산법:세폭시틴 디스크 확산법은 MRSA 검출의 표준 방법입니다. 30 µg의 세폭시틴 디스크를 사용하여 균주의 메티실린 내성을 간접적으로 평가합니다.구역 지름 해석구역 지름이 ≤ 21 mm일 경우 MRSA로 간주(내성).구역 지름이 ≥ 22 mm일 경우 MSSA로 간주(감수성).세폭시틴은 옥사실린보다 PBP2a(펜실린 결합 단백질 2a) 내성 인자의 발현을 더 잘 유도하여 MRSA 감별에 더 효과적입니다.-옥사실린(oxacillin) MIC 시험:MRSA 검출을 위해 옥사실린 MIC 시험을 사용할 수 있.. 2024. 8. 31. 1)CLSI - M100 항균제 감수성 시험 지침 Enterococcus spp CLSI는 굉장히 방대하고 많으며 주제별 카테고리별로 다루는 내용도 굉장히 다릅니다. 문서에는 다양한 표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표는 특정한 세균이나 시험 방법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Enterobacterale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spp., Streptococcus pneumoniae와 같은 미생물 그룹별로 표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항균제, 시험 결과 해석 기준(MIC와 같은 최소 억제 농도 및 디스크 확산 시험의 경우 구역 지름), 품질 관리(QC) 범위를 포함합니다.Enterococcus spp.에 대한 시험 지침. 1. 기본 시험 방법A. 디스크 확산법 (Disk Diffusion Method)Enterococcus.. 2024. 8. 30. Basic Blood culture : CLSI 권장 Part.1 항암제가 거짓 결과를 만든다? '혈액은행' - 다라투무맙(Daratumumab, "DARA") : 골수종다라투무맙(Daratumumab, "DARA"로 줄여서 표현하기도 합니다)은 CD38라는 세포 단백질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입니다. CD38는 플라스마 세포(골수종에서 악성으로 변한 세포)의 표면에서 특히 풍부하게veganbear.tistory.com 혈액배양은 환자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배양액이 담긴 병에 접종해 환자의 혈류에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박테리아나 곰팡이)이 있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미생물이 검출되면 다양한 생화학적 방법, 분자적 방법, 또는 질량분석 방법으로 미생물을 판별합니다. 그런 다음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항생제를 결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검사를 수행합니다.그리고 ESCMID(유럽 .. 2024. 7. 28. 진단검사실의 내부정도관리(IQC)와 외부정도관리(EQA) 비교 임상 검사실의 테스트 영역에서는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는 내부 품질 관리(IQC)와 외부 품질 관리(EQA)의 세심한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달성됩니다. IQC와 EQA는 모두 실험실 테스트의 품질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서로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고 서로 다른 목적을 수행합니다. 실험실 결과의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있어 IQC와 EQA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IQC와 EQA의 차이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내부 품질 관리(IQC) - Internal Quality Control (IQC)IQC는 자체의 범위 내에서 실험실 테스트 결과의 재현성과 정밀도를 모니터링하고 유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IQC는 정확도를 간적접으로 모니터링하며, 주로 테스트 결.. 2024. 5. 25. 임상병리사라면 알아야할 CLSI 1편 CLSI 는 무엇일까? 막내선생님들이라면 일하다가 들어봤을법하고, 진단검사의학분야에 있는 선생님들이라면 엄청나게 신경썼을 법한 단어 바로 CLSI와 ISO, CAP... 등 조금 더 연차가 있는 선생님들에게는 NCCLS가 익숙하겠네요 CLSI =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NCCLS = National Committee for Clinical Laboratory Standards CLSI = NCCLS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CLSI는 1967년에 출현하였으며 1977년에 표준 조직으로 인정되었습니다. 또한 표준조직으로 인정됨과 동시에 National Reference System for the Clinical Laboratory LRSCL에 본.. 2023. 2. 1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