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고머화된 아밀로이드-β(OAβ) 테스트는 알츠하이머병 및 관련 치매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진단 도구입니다. 이는 개인의 뇌척수액(CSF) 또는 혈액에서 올리고머화된 형태의 아밀로이드-베타(Aβ) 펩타이드 수준을 검출하고 측정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아밀로이드 베타(Aβ)
아밀로이드 베타는 알츠하이머병 발병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단백질입니다.
Aβ는 뇌에서 생기는 단백질로, 주로 신경세포간의 연결을 형성하는 시냅스에서 생산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단백질은 정상적인 뇌 기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알츠하이머 병 환자에서는 Aβ가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뇌 세포 사이에 비어 있는 영역을 만들며, 이것이 뇌 세포의 손상과 기능 손실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뇌에서 자연적으로 생성되지만 알츠하이머 환자의 경우 Aβ가 축적되어 플라크 및 올리고머와 같은 비정상적인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인지 저하 및 신경 손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집니다.
올리고머화된 아밀로이드 베타(OAβ)
올리고머는 더 큰 아밀로이드 플라크보다 독성이 더 강한 것으로 간주되는 Aβ 펩타이드의 작은 클러스터입니다. 이러한 올리고머는 정상적인 뇌 기능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알츠하이머병 진행에 대한 보다 적절한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습니다.
OAβ 테스트를 수행하려면 뇌척수액(CSF) 또는 혈액 샘플을 환자로부터 수집합니다.
CSF는 초기 연구모집군으로 사용됐기도 했지만 일반적으로 혈액 샘플링이 덜 침습적이여서 상용화되고 있습니다.
검출 및 측정
수집된 샘플은 올리고머화된 Aβ 펩타이드의 수준을 검출하고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분석됩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ELISA) 또는 질량 분석법과 같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뇌척수액 또는 혈액 내 OAβ 수치의 상승은 알츠하이머병의 위험이 높거나 질병 진행을 암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OAβ는 잠재적인 바이오마커이지만 알츠하이머병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임상 평가, 인지 테스트, 신경 영상(예: MRI 또는 PET 스캔) 및 경우에 따라 CSF 바이오마커 분석의 조합에 의존한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OAβ 테스트는 여전히 연구 및 개발 중이며 이는 효과적인 치료법과 개입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알츠하이머병의 조기 진단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잠재적인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성, 신뢰성 및 임상적 유용성을 확립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진단검사의학과 > 분자유전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ORF1ab(Open Reading Frame 1ab) 및 E(Envelope) 유전자 (1) | 2023.11.27 |
---|---|
IGH-MYC : IGH (Immunoglobulin Heavy Chain) 유전자와 MYC 온코진(MYC oncogene) (1) | 2023.11.02 |
신경병 CMT1A (Charcot-Marie-Tooth Disease Type 1A) (0) | 2023.10.23 |
유전질환 MYH9 (Myosin Heavy Chain 9) (2) | 2023.10.14 |
멘케스 증후군 : Menkes syndrome - ATPase 1(ATP7A (0) | 2023.07.26 |
뼈 건강 - 골형성부전증 : Osteogenesis Imperfecta (OI), COL1A1 및 COL1A2, 엘러스-단로스 증후군(Ehlers-Danlos Syndrome = EDS) (0) | 2023.07.25 |
Spinocerebellar ataxias (SCA) 1~10 - 유전성 신경퇴행 장애 (1) | 2023.06.29 |
골수이형성증후군(MDS),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CLL) - SF3B1 (0) | 2023.06.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