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DL 콜레스테롤은 체내에서 지방과 단백질이 결합하여 형성된 물질로, 콜레스테롤을 간에서 체내 세포로 운반하는 역할을 합니다. 높은 LDL 수치는 동맥경화증, 심장병 및 기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LDL 수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보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LDL 콜레스테롤의 계산 방법과 TG(중성지방) 수치에 따른 계산의 변화를 다루어 보겠습니다.
LDL 계산의 기본 공식: Friedewald 공식
LDL 콜레스테롤의 가장 일반적인 계산식은 Friedewald 공식입니다.
LDL= 총콜레스테롤 − HDL − (TG/5)
1. TG가 400 mg/dL 이하일 경우
Friedewald 공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총콜레스테롤, HDL 및 TG 수치를 통해 LDL 수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TG 수치를 5로 나누어 LDL 계산에 포함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는 TG가 LDL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한 것입니다.
2. TG가 400 mg/dL 이상일 경우
TG 수치가 400 mg/dL를 초과하면 Friedewald 공식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높은 TG 수치는 비정상적인 지단백질 조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LDL 수치의 계산이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LDL 수치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높은 TG 수치를 가진 환자의 경우, LDL 수치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혈액 검사나 대체적인 계산 방법을 고려해야 합니다. Martin의 공식이나 다변량 회귀 모델과 같은 다른 계산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LDL 수치의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Friedewald 공식의 단점 및 주의
Friedewald 공식은 혈액 내 킬로미크론의 존재를 무시합니다. 킬로미크론은 음식에서 흡수된 지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중성지방(TG) 수치가 매우 높을 때 나타납니다. TG 수치가 400 mg/dL를 초과하면 킬로미크론이 LDL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 LDL 수치가 부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습니다.
또한 Friedewald 공식은 TG와 LDL 간의 비례 관계에 의존합니다. 공식에서는 TG 수치를 5로 나누어 LDL을 계산하는데, 이 비율은 개인의 대사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식사 전 후, 특정 질병 등) 특히 비만이나 대사증후군이 있는 환자에서는 LDL 수치가 과소평가될 위험이 있으며, 이는 심혈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국 Friedewald 공식은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계산하는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이지만, 특정 조건과 한계가 있습니다. TG 수치가 높거나 킬로미크론이 존재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검사 방법이나 직접 측정을 고려해야 하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LDL 수치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G가 400 mg/dL 이상일때는??
Friedewald외에도 Martin/Hopkins, Sampson 등 많은 공식이 있습니다.
공식 | 수식 | TG 조건 | 장점 | 단점 |
Friedewald | LDL=총콜레스테롤−HDL−(TG/5) | 400 mg/dL 이하 | 간단하고 널리 사용됨 | 높은 TG 수치에서 부정확, 킬로미크론 무시 |
Martin/Hopkins | LDL=총콜레스테롤−HDL−(TG−100/5) | 100 mg/dL 이상 | 높은 TG 수치에서도 적용 가능 | TG 수치가 100 mg/dL 이하일 경우 불가능 |
Sampson | LDL=총콜레스테롤−HDL−(TG/5.6) | 400 mg/dL 이상 | 높은 TG 수치에서도 적용 가능 | 검증이 더 필요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덜 사용됨 |
Friedewald과 Martin/Hopkins Sampson 공식 비교에 대한 자료를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Sampson 은 높은 중성지방 수치를 가진 환자에서 Friedewald 공식보다 더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는 내용을 다룹니다.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networkopen/fullarticle/2785570
Estimating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atients With High Triglyceride Levels
This cross-sectional study of patients with lipid distributions representative of the US population compares the accuracy of 3 low-density lipoprotein level estimation methods with triglyceride levels of 400 to 799 mg/dL.
jamanetwork.com
https://jamanetwork.com/journals/jamacardiology/fullarticle/2761953
New Equation to Calculate LDL-C in Patients With Normolipidemia and/or Hypertriglyceridemia
This decision analytical model describes the design of a more accurat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equation for patients with a low level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or hypertriglyceridemia.
jamanetwork.com
https://lipidworld.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s12944-022-01648-4
Evaluation of Sampson equation for LDL-C in acute coronary syndrome patients: a Chines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 Lipids i
Objective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is an important cardiovascular disease marker that is used to estimate the risk of acute coronary syndrome in patients. The Sampson equation is an accurate LDL-C equation, but its application in Chinese
lipidworld.biomedcentral.com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263860
Validation of Friedewald, Martin-Hopkins and Sampson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equations
Backgrou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is an important biomarker for determining cardiovascular risk and regulating lipid lowering therapy. Therefore, the accurate estimation of LDL-C concentration is essential in cardiovascular disease dia
journals.plos.org
캐나다에서 임상병리사(MLS)와 임상병리기술자(MLT)의 임금
캐나다의 임상병리사(Clinical Laboratory Scientist, MLS)와 임상병리기술자(Medical Laboratory Technician, MLT)는 모두 의료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실험실에서 다양한 진단 및 분석 업무를 수행합
veganbear.tistory.com
'진단검사의학과 > 임상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dbard 모델과 4-Parameter Logistic (4PL) 모델 (2) | 2024.10.25 |
---|---|
LOD, LOQ, LOB<임상 검사실에서의 기본 개념> (0) | 2024.10.23 |
왜 다양한 포인트 캘리브레이션을 사용하는가? <Point Calibration> (5) | 2024.10.09 |
정맥혈, 동맥혈, 모세혈관에서의 혈당 비교 Glucose (1) | 2024.10.04 |
RCF와 RPM 변환은? (2) | 2024.09.30 |
GFR계산 MDRD(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CKD-EPI(Chronic Kidney Disease Epidemiology Collaboration),IDMS-MDRD (Isotope Dilution Mass Spectrometry - Modified MDRD) (2) | 2024.09.28 |
Calibration Type 이해하기 *Linear,Nonlinear,Piecewise (0) | 2024.09.27 |
쉽게 알아보는 AMR (Analytical Measurement Range), CRR (Clinically Reportable Range) (1) | 2024.09.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