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검사의학과/임상화학

LOD, LOQ, LOB<임상 검사실에서의 기본 개념>

by 병리맨 2024. 10. 23.
728x90
반응형

검사실에서는 검사 장비가 시료에 있는 분석 물질의 농도를 정확하게 검출하고, 이를 정량화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 과정에서 LOD (Limit of Detection, 검출 한계), LOQ (Limit of Quantitation, 정량화 한계), 그리고 LOB (Limit of Blank)는 검사 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고 결과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LOD, LOQ, LOB가 무엇인지, 그리고 임상 검사실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LOB (Limit of Blank, 빈값 한계)란?

LOB는 빈 시료에서 나타날 수 있는 최대 신호를 의미합니다. 즉, 분석 대상 물질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검사 장비가 감지하는 배경 신호 또는 잡음의 수준을 나타냅니다. 이 값은 빈 시료를 분석할 때 나타날 수 있는 자연적인 변동성을 반영하며, 분석 장비의 기본 노이즈를 기준으로 삼아야 합니다.

LOD (Limit of Detection, 검출 한계)란?

LOD는 검사 장비가 분석 대상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LOD는 분석 결과가 신뢰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값 이하의 농도는 장비가 분석 물질을 감지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데이터를 얻기 어렵습니다.

LOQ (Limit of Quantitation, 정량화 한계)란?

LOQ는 분석 대상 물질을 정확하게 정량화할 수 있는 최소 농도를 의미합니다. LOD가 분석 물질을 감지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면, LOQ는 그 물질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최소 농도입니다. 즉, LOD 이상이더라도 LOQ 이하의 값은 감지할 수는 있지만, 정확한 정량화는 어렵다는 의미입니다.

반응형

예를 들어, 특정 효소의 농도를 측정할 때
LOB가 5 U/L이라면, 5 U/L 이하의 값은 백그라운드 잡음으로 간주되어 실제 효소의 존재 여부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LOD가 10 U/L이라면, 10 U/L 이상의 농도에서만 그 효소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LOQ가 20 U/L이라면, 20 U/L 이상의 농도에서만 정확하게 그 효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LOB 빈 시료에서 측정될 수 있는
최대 신호
분석 대상 물질이 없는 상태에서 나타나는 기본 잡음의 수준을 나타냅니다.
LOD 검출 가능한 최소 농도 이 값 이하에서는 분석 물질이 검출되지 않으며, 진단에서 음성 결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LOQ 정밀한 정량화가 가능한 최소 농도 이 값 이상에서만 분석 결과를 신뢰할 수 있으며, 임상적 해석에 활용됩니다.
 

계통 오차 vs 우연 오차 (정도관리 비교)

진단검사의학에서 검사 결과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도 관리(QC)가 매우 중요합니다. 검사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계통 오차(Systematic Error)와 우연 오차(R

veganbear.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