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단검사의학과/수혈학

Polyspecific AHG와 Monospecific AHG

by 병리맨 2024. 11. 8.
728x90
반응형

D irect Antiglobulin Test(DAT)는 혈액은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검사로, 적혈구 표면에 결합된 항체나 보체를 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검사는 자가면역성 질환, 수혈 후 부작용, 그리고 신생아용혈성질환(HDFN)과 같은 문제를 진단하는 데 핵심적입니다. 특히, DAT에서는 Polyspecific AHG와 Monospecific AHG라는 시약을 상황에 따라 적절히 활용합니다.

Ab 스크리닝 양성 IAT 양성의 경우에도 항체가 IgG인지 명확히 보기 위해 처방하는경우도 있습니다.

IAT도 카드로 검사하면 양성반응을 관찰할수 있습니다.

Polyspecific AHG의 특징과 역할

 

Polyspecific AHG는 항-IgG와 항-C3d를 모두 포함한 다중특이적 시약입니다. 이 시약은 초기 검사에 사용되어, 한 번의 검사로 적혈구 표면에 결합된 항체나 보체를 동시에 탐지합니다. 이렇게 빠른 스크리닝을 통해 용혈 반응의 가능성을 신속히 평가할 수 있습니다. Polyspecific AHG가 양성일 경우, 항체와 보체 중 어떤 성분이 문제를 일으켰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Monospecific AHG로 추가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Monospecific AHG의 역할과 해석

 

Monospecific AHG는 특정 성분만을 타겟으로 합니다. 항-IgG를 사용하면 적혈구에 결합된 IgG 항체를 탐지할 수 있고, 이는 주로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AIHA)이나 HDFN 같은 질환에서 발견됩니다. 반면 항-C3d는 보체가 활성화된 경우에 양성을 보입니다. 보체가 활성화된 상황은 약물 유발성 용혈 반응이나 특정 면역 반응에서 흔히 관찰됩니다.

 

예를 들어, 수혈 후 지연형 용혈 반응(DHTR)이 발생한 경우 Polyspecific AHG 검사에서 양성을 보이면, Monospecific AHG를 사용해 IgG 항체가 원인인지 아니면 보체에 의한 반응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합니다. 만약 항-IgG가 양성이면, 환자가 수혈된 혈액에 대해 항체 반응을 보였음을 의미하고, 항-C3d가 양성이면 보체가 적혈구 파괴에 관여했음을 시사합니다.

반응형

DAT 검사는 또한 신생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모체의 IgG 항체가 태아의 적혈구에 결합해 HDFN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때 DAT로 항체 결합 여부를 신속하게 파악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Polyspecific AHG가 먼저 사용되고, 양성 결과가 나오면 항-IgG로 모체 항체의 영향을 확증합니다.

 

하지만 모든 양성 반응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약한 양성 반응이나 비특이적 반응이 나올 때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일루션(Elution)이라는 과정을 통해 적혈구에 결합된 항체를 분리하여 정밀 검사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는 항체의 농도가 낮거나 혈청 검사에서 탐지되지 않을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https://meridian.allenpress.com/aplm/article/141/2/305/132516/The-Direct-Antiglobulin-Test-Indications

 

728x90
반응형

댓글